반응형

알찬 생활정보/생활법률 40

내 연차수당은 얼마? 연차수당 계산하기

얼마전 연차 발생기준과 연차 갯수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했었다. 나의 연차 갯수가 몇개이고 어떻게 발생되는지 알아보았는데 하나 더 알고 있어야 할 것이 있다. 사용하지 못한 연차에 대해서 얼마를 받아야 하는가이다. 연차수당 계산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참고]연차 발생기준과 연차 갯수에 대해서 확인하지 못했다면 아래 글을 참조하면 된다. 연차 발생기준 정확히 이해하고 내 연차 갯수 정확히 계산하기 직장 생활하다 보면 누구나 연차 휴가를 사용하거나 연차 수당을 받게 된다. 그런데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회사가 주는 대로 할 수밖에 없다. 대부분의 회사가 법규대로 잘하겠지만 드물지 않 miso13.tistory.com 연차수당 계산은 얼핏보면 단순하다. 통상임금 X 연차개수 사용하지 못한 연차개수에..

2021 내년부터 바뀌는 부동산세, 어떻게 바뀌나 요약

집값이 많이 올랐거나 오르고 있다는 뉴스를 보면 한숨만 나온다. 집이 있는 사람도 실거주자라면 집값이 오르면 좋을 것이 별로 없다. 차익 실현하고 집값 싼 동네로 이사 가지 않는 이상 어차피 다른 곳으로 이사 가면 그곳도 올랐기 때문이다. 세금만 늘어나게 되는데 요즘 종합부동산세니 주택관련 세법이니 해서 또 시끄럽다. 집값으로 말 많은 요즘 세금은 어떻게 바뀌나 알아보자. 일단 부동산 3법이란 양도소득세법, 종합부동산세법, 법인세법, 지방세법이 개정된 것을 말한다. 여기에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민특법)도 포함되어 있다. 주요 개정내용을 알아보자. 1. 양도소득세법 □양도소득세제상 주택 수 계산시 분양권 포함(’21.1.1.이후 취득분부터) ○1세대1주택자·조정대상지역 내 다주택자 등 양도소득 세제상..

실업급여 자격과 기간, 자발적 퇴사시에도 받을 수 있나?

코로나19가 경제에 미친 충격은 기업 고용환경도 불안하게 만들었다.올해 2020년 5개월 연속으로 실업급여 지급액이 1조원을 넘어섰다.정말 많은 사람들이 회사에서 내몰리고 있다.이중에는 회사에서 나가라고 한 경우가 대부분이겠지만 어쩔수 없이 스스로 그만 두는 경우도 있을것이다.자발적으로 퇴사하게 되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을까? 실업급여 5개월 연속 1조원대지난달 9만9천명 신청`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고용 충격이 계속되면서 지난달에도 실업급여 지급액이 1조1천억원을 훌쩍 넘었다. 고용보험 가입자를 기준으로 한 고용 지표는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지만, www.wowtv.co.kr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회사에서 나가라고 해야만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서 이번에는 실업급여..

연차 발생기준 정확히 이해하고 내 연차 갯수 정확히 계산하기

직장 생활하다 보면 누구나 연차 휴가를 사용하거나 연차 수당을 받게 된다. 그런데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회사가 주는 대로 할 수밖에 없다. 대부분의 회사가 법규대로 잘하겠지만 드물지 않게 여러 회사들이 연차에 대해서 이해를 못하거나 악의적으로 속이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법규를 기준을 연차 발생 기준을 이해할 필요가 있고, 내 연차가 몇개인지 정확히 계산해 볼 필요가 있다. 근로기준법 제60조 (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③ 삭제 ④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

대체휴가와 보상휴가 차이점은?

직장생황을 하다보면 이런말 한두번 들어봤을 것이다. 근로자의 날 일하고하고 다음날 대신 쉬자~ 좋아하는 사람도 있도 싫어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보통 따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통 이런경우를 대체휴가라고 부르지만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다. 대체휴가와 보상휴가의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회사나 직원들이나 헛갈리고 오해하기 쉬운 대체휴가와 보상휴가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선 대체휴가와 보상휴가의 공통점은 특정일날 쉬는 대신 근무한 뒤에 다른날 대신 쉬는 것이다. 기본 개념은 같은데 깊이 들어가면 많이 틀리다. 머리 아프지만 근로기준법을 살펴보자. 제55조(휴일)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한다. 제56조(연장·야간 및 휴일 근로) 사용자는 연장근로(제53조·제59조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