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50

2019년 백신 접종 후 7일내 사망한 노인 1500명 / 침소봉대 하는걸까?

올해는 참 힘든 해다. IMF때도 못느꼈는데 진짜 난리다. 독감백신 상온 노출로 독감 무상 접종이 중단되더니 최근에는 독감 예방 접종 후에 48명이 사망하면서 다시 독감백신때문에 시끄럽다. 오늘 24일,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독감백신 브리핑을 했다. 보는 내내 안스럽기까지 했다. 일단 독감백신과 사망자간 상호 인과성이 낮다는 의견이다. 또한 작년에 65세 이상 노인 중 독감 접종 후 7일 이내 사망자 수가 1500명이나 된다고 한다. 아마도 백신 유통 문제나 고령자의 이상 반응 등으로 인해 국민 불안감이 커져서 사망자 발생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작년에 독감 백신 접종 후 7일 이내 1500명이나 사망했다는 사실은 좀 놀랍다. 우리 가족도 아직 독감 예방접종을 받지 못했다...

연차 발생기준 정확히 이해하고 내 연차 갯수 정확히 계산하기

직장 생활하다 보면 누구나 연차 휴가를 사용하거나 연차 수당을 받게 된다. 그런데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회사가 주는 대로 할 수밖에 없다. 대부분의 회사가 법규대로 잘하겠지만 드물지 않게 여러 회사들이 연차에 대해서 이해를 못하거나 악의적으로 속이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법규를 기준을 연차 발생 기준을 이해할 필요가 있고, 내 연차가 몇개인지 정확히 계산해 볼 필요가 있다. 근로기준법 제60조 (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③ 삭제 ④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

추운날 따뜻하게 몸을 녹여주는 금요일 밤 야식 _ 순대국

이제 제법 날씨가 쌀쌀하다. 마음 한편에는 패딩이 이미 자리 잡고 있다. 피곤한 한주를 보내고 코로나를 피해 소주 한잔과 뜨거운 국물이 생각난다. 옛날 직장에서 다른팀 형님과 퇴근할 때 콩나물 국밥에 소주 한 병을 까고 집에 들어가곤 했었는데 오늘따라 콩나물 국밥 대신 얼큰한 순대국이 생각나서 또다시 냉장고를 뒤졌다. 이름하여 홍반장 토종 순대국 냉동실에서 꽁꽁 얼어있는 상태로 발견되었다. 출출할 때는 순대국이라는 이름만 들어도 침이 고인다. 슬슬 요리(?)를 시작해 본다. 이 순대국에는 닭고기와 돼지고기, 돼지내장, 순대 등이 들어간다. 검정색 표시에 소고기도 들어간다고 하는데 고깃덩어리로는 찾아볼 수 없고 육수에 들어가는 것 같다. 일단 내용만 봐도 침이 고인다. 주의사항에 순대는 속이 터질 수 있다..

일요일 저녁 간단한 야식 술안주 (훈제통닭)

일요일 하루 종일 뒹굴뒹굴하다 보니 저녁이 되어도 저녁 생각이 안 난다. 몇 시간 후 내일이 되면 다시 시작될 한주가 벌써부터 스트레스로 다가온다. 이렇때 시원한 맥주가 있으면 좋겠는데 함께 해줄 안주가 마땅치 않다. 냉장고를 뒤적뒤적 하다가 '심봤다' 며칠 전에 사두고 깜빡한 훈제통닭이 좁디 좁은 냉장실 구석에서 고귀한 자태를 비추고 있었다. 한주를 마치고 새로운 한주를 준비하는데 부담스럽지 않고 살짝은 럭셔리한 메뉴 훈제통닭 + 캔맥주 며칠전에 동네 슈퍼마켓에서 샀는데 8,400원짜리를 할인받아서 6,980원에 득템 했다. 모바일로 주문했더니 할인이 되어 싸게 사고 좋아했던 기억이다. 까맣게 잊고 있다 발견하니 더 기분이 좋다. 영양과 성분에 대해 민감한 분들은 참고하시길... 나트륨이 사발면 1개에..

긴급 재난지원금 놓치지 말고 꼼꼼히 알아보자 (코로나19 정부지원)

코로나 19로 국민 경제가 어려워지자 정부에서 긴급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올해 4월에 1차로 지급했고, 9월에 7조 8000억원 규모의 추경을 통과해 2차 긴급 재난지원금이 지급되고 있다. 긴급 재난지원금외에도 다양하고 많은 형태로 코로나19 정부지원금이 지원되고 있어 꼼꼼히 살펴보고 해당되는 지원금을 놓치지 않고 받아서 어려운 환경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정부지원금은 15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 연령대별로 아동 / 초중고생 / 청년 / 중장년 / 노인 □ 소득별로 중위소득 100% 이하 / 기초수급자/차상위 / 한부모 가족 / 실직자 / 무급 휴직자 □ 업종,기타로 입원,자가격리자 / 특수형태 근로자 / 농업인 / 임차인 / 일반근로자 총 15 유형을 모두 상세하게 다루는 것은 곤란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