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알찬 생활정보 214

중국 항저우 아시안게임 축구 조편성과 경기일정

2023년 9월 23일 중국 항저우에서 제19회 아시안게임이 열립니다. 어려운 경제에 아시아 국가들끼리 펼치는 아시안게임에서 우리 국민들의 마음에 용기를 불어넣어 주길 기대합니다. 그리고, 가장 관심있는 축구 경기 일정이 잡혔습니다. 1.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축구 조편성 한국은 E조에서 바레인과 태국, 쿠웨이트과 경기를 하게 됩니다. 총 6개 조편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A조: 중국, 방글라데시, 미얀마, 인도 B조: 베트남,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몽골 C조: 우즈베키스탄, 시리아, 홍콩, 아프가니스탄 D조: 일본, 팔레스타인, 카타르 E조: 한국, 바레인, 태국, 쿠웨이트 F조: 북한, 인도네시아, 키르기스스탄, 대만 2. 한국 팀 경기 일정 1) 한국 남자팀 (E조) 경기일정 9월 19일 화요일 ..

동시에 차선변경 추돌 교통사고 과실 어느쪽이 많을까?

도로 주행을 하다가 차선을 변경했는데 뒷차도 같은 방향으로 차선을 변경해서 추돌하는 교통사고 입니다. 앞차 입장에서는 내가 차선을 변경하는데 뒷차가 속도를 내서 차선을 변경해서 추돌했다 라고 할수도 있고 뒷차 입장에서는 내가 차선을 변경해서 가는데 내 앞에서 갑자기 차선을 변경했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과실 분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Ⅰ. 사고 현장 재현 A차량과 B차량이 동일 차로에서 주행을 하고 있었습니다. 뒤에 있던 B 차량이 옆차선으로 차선을 변경 하기 시작했습니다. 앞에 있던 A차량도 동일한 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시작했습니다. 결론은 같은 방향으로 차선을 변경한 차량끼리의 추돌사고 입니다. 사고를 처음 당해본 운전자는 참 난감고 서로의 억울함만 주장할 뿐입니다. 이런 경우 과실 분..

추석, 설날 명절, 기제사 제사 지방 쓰는 법 (양식 다운로드)

명절이 다가오면 마음도 들뜨고 준비할 것도 많습니다. 선물도 준비하고, 제사음식도 준비하고, 용돈도 준비하고 준비할 것이 많습니다. 그러나 매년 명절때 마다 제사 지방때문에 당황하곤 합니다. 오늘은 제사 지방 쓰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편리하게 편집하고 인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양식도 공유드리겠습니다. 1. 지방이란 무엇일까요? ① 지방이란? 제사를 지낼 때 쓰는 지방은 제사에 모시는 주인공인 조상을 상징합니다. 신주를 모시고 있지 않은 집에서 차례나 기제사 때 종이에 신위를 적은 것을 말합니다. 신주란 조상의 위패(대게 밤나무로 만듬)를 말하며 아주 옛날에는 사당을 만들어 놓고 사당안에 신주를 모셨습니다. 요즘은 집안에 신주를 모시는 집이 거의 없죠? 그래서 신주를 대신하여 지방을 사용합니다. 신위란 ..

주행중 차선변경 끼어들기 교통사고 과실 비율은?

도로에서 운전하다 보면 목적지로 가기 위해서 차선을 변경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잘 주행하고 있는데 옆차선 다른 챠량이 내 앞으로 차선을 변경해서 사고가 났다면 과실 비율은 어떻게 될까요? 무리한 과실 분배때문에 다툼이 있을 경우에 참고 하면 좋은 과실비율 기준을 알려드리겠습니다. Ⅰ. 사고 발생 정황 A 차량은 한 차선으로 진행 중이었습니다. B차량은 옆 차선에서 A차량을 앞지른 후 A차량앞으로 차선을 변경하던 중 충돌을 하게 되었습니다. 충돌 위치는 A차량의 앞부분입니다. 이런 사고 유형은 다툼이 많이 생길 수 있습니다. 깜빡이를 켜고 들어왔는데 A.차가 양보를 안했다, 너무 급하고 무리하게 들어왔다 등 운전자들도 할 말이 많을 겁니다. 그럼 이런 경우의 과실은 어떤 기준으로 조정되는지 확인해 보겠습..

전입신고 확정일자 받는 법과 주의할 점

Ⅰ. 전입신고란? 새로 이사를 하게 되면 전입신고라는 것을 합니다. 전입신고를 하면 해당 주소지에 주민등록표에 기재가 되고, 내가 이 곳에 거주한 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전입신고는 새로운 주소지로 이전할 때, 이전한 관할 구청에 이전 신고를 하는 것입니다. 관할 구청은 관할 새로 이사 온 주거지에서 생활하는 주민들의 인적사항과 거주지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공공서비스 제공 및 선거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전입신고를 안하게 된다면 여러가지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입신고 안하면? 1.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14일내에 안하면 5만원, 신고의무자가 안하면 10만원 이하) 2. 선거를 할 수 있는 권리가 정확하게 보장되지 못할 수 있습니다. 3. 전세보증금을 보호받지 못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