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찬 생활정보/생활 TIP

드라마 연인 역대급 찌질한 임금 인조, 실제로는 어떤 임금이었을까?

열공하는 라쿤 2023. 11. 14. 06:01
반응형

드라마 연인의 인기만큼이나 극 중 임금인 인조에 대해서 궁금해집니다.
극 중에서는 정말 찌질해 보이죠?
실제로 기록된 역사에서는 어땠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1. 인조의 출생과 어린시절
2. 인조반정과 왕위 등극
3. 인조의 성격
4. 인조에 대한 평가

 

조선 왕 계보로 알아보는 조선의 역사 : 왕 이름 쉽게 외우기

조선의 왕 이름 외우기 조선의 왕 이름 외우기 무지 쉬운거 아시죠? 봄나들이라는 동요 가사입니다. 나리나리 개나리 입에따다 물고요 병아리떼 종종종 봄나들이 갑니다 이 노래에 조선왕 이름

miso13.tistory.com

1. 인조의 출생과 어린시절

조선의 16대 임금인 인조는 1595년에 태어나서 1649년까지 살았습니다.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난 인조는 임진왜란 때문에 왕실이 모두 해주로 피난 갔을때 태어났습니다.
인조의 이름은 '이종'이고 자는 '화백', 호는 '송창' 입니다.
인조의 아버지는 선조의 다섯째 아들인 정원대군이고, 어머니는 인헌왕후 구씨입니다.

인조는 선조의 첫째 손자로서 선조의 총애를 받았어요.
선조는 인조의 오른쪽 넓적다리에 사마귀가 많은 것을 보고 한나라 고조와 같은 상이라고 하면서 비밀로 하라고 했어요.

인조는 어린 시절에 선조가 직접 가르쳐 주기도 했고, 그의 휘와 소자도 선조가 지어줬어요.
인조는 1607년에 능양도정으로 봉해졌다가 능양군으로 봉해졌어요.

인조의 아내는 비는 한씨와 조씨예요.
한씨는 서평부원군 한준겸의 딸이고, 1610년에 결혼합니다.
조씨는 한원부원군 조창원의 딸이고, 1638년에 결혼합니다.
드라마 연인에서 소유진이 연기한 사람이 바로 조씨입니다

인조는 광해군에게 원한을 품고 있었습니다.
그의 막내 동생인 능창군이 역모 혐의로 죽고, 아버지인 정원군도 슬픔에 병들어 죽었거든요.
그래서 인조는 친척들과 반정을 도모하고, 1623년에 광해군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이것을 인조반정이라고 합니다.

2. 인조반정과 왕위 등극

인조반정이란 1623년에 광해군을 폐위시키고 능양군을 왕위에 올린 서인 일파의 반정을 합니다.

인조대왕실록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인조반정 발생시 배경

광해군은 선조의 다섯째 아들로, 선조가 죽은 후에 왕위를 계승했습니다.
광해군은 중립외교 정책을 펼치고, 토목공사와 영건을 추진하는 등 나라에 발전적인 일을 많이 했습니다.
하지만 광해군은 자신의 형제들을 죽이고, 폐모살제를 저질렀고, 매관매직과 무리한 조세로 이해 민심을 잃게 되었습니다.
 또, 명나라와 후금 사이에서 어느 한쪽에도 치우치지 않으려고 했지만, 이는 외교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을 만들습니다.

인조반정 발생 원인

광해군에게 원한을 품고 있었던 서인 일파가 광해를 몰아내기 위하여 반정을 모의했습니다.
서인 일파에는 광해군에게 역모혐의로 유배되어 죽은 능창군의 형인 능양군(인조), 그리고 광해군의 정치에 불만을 가진 김류, 이귀, 신경진, 이서, 최명길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광해군의 패륜 행위와 무능함을 반정의 명분으로 삼았습니다.

인조반정 성공

1623년 4월 11일 밤, 서인 일파는 2000여 명의 군사를 이끌고 창의문을 부수고, 창덕궁에 쳐들어 갔습니다.
광해군은 소나무 숲에 숨었지만, 곧 체포되고 말았습니다.
광해군의 측근들은 대부분 죽거나 귀양을 보냈습니다.
능양군은 인목대비의 승인을 받아 왕으로 즉위 하게 됩니다.

그 결과

능양군은 인조라는 새로운 시호를 받습니다.
인조는 국정을 안정시키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여 대동법과 영정법을 실시하고, 상평청을 설치하고, 총융청과 수어청을 설치했습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농민들의 부담을 줄이고, 정부의 세입을 증대시키고, 군사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인조반정으로 인해 대북파와 북인파가 몰락하고, 서인파가 득세하게 됩니다.

3. 인조의 성격

드라마 연인에서는 인조가 겁이 많다고 표현됩니다.
연인은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 허구이지만, 기록된 인조의 성격 역시 드라마와 비슷합니다.

의심 많고 조심스러운 성격

인조는 선조의 다섯째 아들인 정원대원군의 장남으로, 광해군의 반감을 사고 죽음의 공포에 시달렸습니다.
그 때문에 인조는 사람을 잘 믿지 않았고, 자신의 글씨나 감정을 드러내지 않았습니다.
왕위에 오른 후에도 자신의 정책이나 왕위를 위협하는 반왕권 움직임에 대해 의심을 품었습니다.

다혈질적이고 강경한 성격

인조는 자신의 의견이나 정의를 강하게 주장하고, 반대하는 사람들을 가차없이 처벌했습니다.
인조는 서인의 반정을 지원하여 광해군을 폐위시키고, 남인을 탄압하고,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항복하고, 삼전도의 굴욕을 겪었습니다.
이러한 사건들은 인조의 성격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여인에게 의지하는 성격

인조는 왕위에 오르기 전에는 왕비 한씨 외에는 어떤 여인도 가까이하지 않았습니다.
한씨가 죽은 후에는 후궁 조씨에게 의지했습니다.
하지만 조씨는 인조의 첫째 아들 소현세자를 음해하고, 인조와 세자 사이를 이간질했습니다.
인조는 그 말을 믿고, 소현세자와 세자빈 강씨를 죽이고, 손자들을 귀양 보냈습니다.
이로 인해 인조는 부자지간을 원수지간으로 만들고 말았습니다.

3번의 전쟁과 난

인조가 왕이 되고 나서 재위기간 중 3번의 전쟁이 일어납니다.
이괄의 난과 정묘호란, 병자호란입니다.

이괄의 난

1624년 8월, 인조의 즉위에 반대하는 동인 일파의 이괄이 일으킨 반란입니다. 이괄은 광해군을 복위시키려고 하였으나, 인조의 군사적 대응과 서인 일파의 저항으로 실패하였습니다.
이괄은 청나라로 도망가서 청나라의 지원을 받으려고 하였으나, 청나라는 이괄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이괄은 결국 1627년에 청나라에 의해 사형당하였습니다. 

정묘호란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호렵도)

1627년 1월, 후금의 홍타이지가 조선을 침략한 전쟁입니다.
홍태지는 아민을 장수로 삼아 3만 명의 군사를 조선에 파견하였습니다.
조선은 군사력이 약해 저항할 수 없었고,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였습니다.
후금은 한성을 점령하고, 인조에게 명나라와의 외교관계를 끊고, 후금에 복종하라는 요구를 하였습니다.
인조는 이에 동의하였으나, 후금이 철수한 후에 다시 명나라와의 외교관계를 회복하였습니다. 

 

병자호란

あばさー - 自ら撮影, パブリック・ドメイン, による

1636년 12월, 후금이 청나라로 개명하고 다시 조선을 침략한 전쟁입니다.
바로 드라마 연인의 배경이 되는 전쟁입니다.
청나라의 태종은 다르가치를 장수로 삼아 10만 명의 군사를 조선에 파견하였습니다.
조선은 다시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였으나, 청나라의 포위와 공격에 견디지 못하고 40여 일 만에 항복하였습니다.
인조는 청나라의 태종에게 삼전도에서 무릎을 꿇고 사신을 보내는 굴욕을 겪었습니다.
이후에는 명나라와의 외교관계를 완전히 끊고, 청나라에 종속되었습니다. 

 

인조에 대한 평가

인조는 조선의 임금 중 좋게 평가 받지 못하는 편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인조반정과 청나라에 대한 항복 때문일 겁니다.
인조반정으로 광해를 내쫒고 왕이 되었으며, 병자호란때는 삼전도의 굴욕을 당하면서 조선의 자주성과 독립성을 잃게 되었습니다.
또한, 의심이 많아 소현세자와 세자빈을 죽이는 등 안좋은 평가를 받을 만한 일을 많이 했습니다.

그러나,  농업 세금제도인 대동법과 영정법을 시행하는 등의 업적도 있었으므로 무조건 욕하는 것보다는 당시 시대적 배경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